오케스트라

“나는 오케스트라가 자체의 음색을 갖는 것에 관심이 없다. 나는 오케스트라가 작곡가처럼 들렸으면 한다.” -레너드 번스타인
오케스트라는 일반적으로 현악기, 금관악기, 목관악기, 타악기 섹션을 포함하는 클래식 혹은 실내악을 연주하는 기악앙상블(합주)을 말합니다. 현대오케스트라는 17세기 중반에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으며, 18세기와 19세기에 걸쳐 빠르게 성장했습니다. 작곡가들은 점차적으로 특정악기의 파트가 담긴 음악을 작곡했고, 다른 악기와 결합해 여러 사운드와 음색을 이루는 모험을 시작했습니다. 약 50 명 이하의 소규모 오케스트라를 챔버 오케스트라고 하며, 80 명에서 100 명 정도의 대형 오케스트라는 심포니 혹은 필 하모닉 오케스트라고 합니다.
민음은 1963년 10월 18일, 도쿄 분쿄국회당에서 열린 첫번째 콘서트에서 다수의 클래식 음악 공연을 주최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합창단과 음악 앙상블 그리고 바이올리니스트와 첼리스트의 연주가 있었습니다. 또한 정기연주회도 개최되었습니다.
민음은 1966 년부터 주네시스 뮤지컬 드 프랑스와 일련의 교류가 있었으며, 민음 구독콘서트시리즈는 피아니스트 세실 우세의 잊을 수 없는 피아노 리사이틀로 시작되었습니다. 1969 년 오케스트라 시리즈는 주빈 메타가 이끄는 로스앤젤레스 필 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연주로 시작되었습니다.
1980년대의 쳄버뮤직 시리즈는 캐나디언 브라스 연주로 시작해, 보스턴 교향악단 실내앙상블과 크로노스 콰르텟 등 유명한 아티스트의 연주로 이어졌습니다. 이러한 민음 정기 콘서트 시리즈는 일본 관객에게 특히 반응이 좋으며 지금까지 호평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오케스트라 시리즈
1969년 주빈 메타와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1975년 앙드레 프레빈과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1978년 앤드루 데이비스와 토론토 심포니
1980년 와카수기 히로시와 다스코너 방송교향악단
1982년 프란티섹 지렉, 페트 브론스키와 브루노 국립 필하모닉관혁악단
1985년 레너드 번스타인과 이스라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1986년 제나디 로젠데스벤스키와 소련 문화성교향악단
1989년 헤르베르크 케겔과 드레스덴 필하모닉 관혁악단
1990년 와카수기 히로시와 톤할레 오케스트라 취리히
1992년 즈데넥 마칼과 밀워키 교향악단
1994년 히로카미 준이치와 노르코핑 오케스트라
1995년 모스크바 국립음악학교의 페도세예프 센트럴스페셜 뮤지컬스쿨 오케스트라
1996년 예르비 스보바와 실레지안 교향악단
1997년 중국 중앙라디오 오케스트라
2001년 정명훈과 아시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2001년 로저 노링턴과 SWR 슈투트가르트 라디오 심포니 오케스트라
2002년 스트라우스 카펠
2003,2004,2006,2007,2011년 빈 오페라하우스 오케스트라
2017년 샬롯 드 로스차일드와 시티오브 런던
챔버뮤직(실내악)시리즈
1980년 캐나디언브라스
1987년 보스턴 심포니 챔버 연주자
1989년 브리튼 현악4중주
1989,1993,1996년 크로노스 콰르텟
1992년 다보스 인터네셔널 뮤직페스티벌 앙상블
1993년 헝가리 집시 앙상블
1994,1996년 빈왈츠 앙상블
1995년 트리오 페스티보
1995년 폴란드 앙상블
1996년 르 노블 앙상블 모던
1998,2003,2004년 에르미타주 미술관 오케스트라 피터버그 카메라타
2003년 메뉴인뮤직아카데미 카멜라타 리지 구스타드
2008년 툴루즈 실내관현악단
2009,2011,2015년 모질브라스
2012년 보스턴브라스
2012,2013년 체코 필 브래스
2014년 콰트로첼리
2016년 고말란 브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