탱고

“탱고는 항상 인간의 감정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인간의 목소리가 있다. 그래서 우리는 그 감정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소리를 내야만 한다.” -오스발도 푸글리에세
교육교류와 문화교류를 적극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일본과 라틴 아메리카 상호간의 이해를 깊게 할 것입니다. 그리고 교류를 거듭하는 속에 “태평양의 이웃”으로서 또한 같은 ‘지구사회의 주인’으로서의 공통의식을 함양하게 됩니다. 무엇보다 전쟁을 억지하는 제동이 되어 끊이지 않는 생존경쟁에서 벗어나 반드시 공존공영(共存共榮)하는 세계를 구축하는 초석이 된다고 나는 생각합니다. – ‘이케다 다이사쿠 전집’ 제108권
중남미에서 엿볼수 있는 라틴 음악은 일반적으로 스페인, 아프리카 및 원주민 출신의 영향을 조합한 음악 스타일 및 장르입니다. 다양하고 풍요로운 음악문화와 라틴아메리카 각국 특유의 음악은 수 백년에 걸쳐 각 민족, 역사 및 사회 문화적 배경에 따라 발달했습니다.
아르헨티나의 음악 스타일 중 탱고는 아마도 가장 인기가 높으며 전 세계적으로 유명해지고 있습니다. 1970 년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호세 바소 오케스트라의 콘서트와 함께 시작된 민음탱고 시리즈는 일본의 탱고 붐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 시리즈는 오스발도 푸글리에세 오케스트라 및 마리아노 모레스 오케스트라와 같은 탱고 아티스트의 일본 전국투어를 정기적으로 매년 개최하고 있습니다.
가장 최근의 투어는 2018년 명성높은 반도네오 연주자인 파비오 하겔 작곡한 49장의 탱고시리즈입니다. 현재까지 이 시리즈는 일본 전역에서 2,500 회 이상의 공연을 진행했으며, 380 만 명이 넘는 관람객에게 탱고에 대한 경이를 불러 일으켰습니다.
또한 민음은 브라질의 갈 코스타와 길베르투 길, 파라과이의 로스 인디오스, 볼리비아의 Los Laikas의 공연 등 여러 라틴아메리카 나라의 라틴 민속음악과 브라질 대중음악과 같은, 라틴음악의 다른 장르의 뮤지션과 예술가를 초청했습니다.
민음 탱고시리즈:
1970,1985년 오케스트라 호세 바소
1971년 오케스트라 핵터 바렐라
1972년 플로린도 싸쏘네 이 쑤 오르께스따 티피카
1973년 플란시니 폰티어 이 쑤 오르께스따 티피카
1974,1980년 카를로스 가르시아 탱고 올스타
1975년 오케스트라 풀비오 살라망카
1976년 오케스트라 레오폴도 페데리코
1977년 프란시니 & 심포닉 탱고 오케스트라
1978년 오케스트라 호세 리베텔라
1979,1989년 오케스트라 오스발도 푸글리에세
1981년 그란 오케스트라 살간 데 리오
1982년 오케스트라 카를로스 라자리
1983,1995년 오케스트라 올란도 트리포이
1984,1988,1992년 오케스트라 마리아노 모레스
1986년 오케스트라 오스발도 베르린게리
1987년 엔리케 뒤마 쓰 오케스트라 드래곤
1990,1993년 오케스트라 후안 드 아리엔조
1991년 오케스트라 델 탱고 데 네스터 마르코니
1992,1994,2004년 글로리아 앤 에두아르도 탱고 앙상블
1996년 오케스트라 줄리안 프라자
1997년 오케스트라 오스발도 피로
1998년 오케스트라마우리시오 마르첼리
1999년 오케스트라 카를로스 부오노
2000년 오케스트라 오스발도 레퀴나
2001년 라울 라비 & 섹스테투 수르
2002,2005년 오케스트라 엘 아르랭크
2003년 오케스트라 카를로스 갈반
2006,2012,2018년 파비오 헤거 & 탱고 델 수르
2007년 오케스트라 에리카 디 살보
2008년 오케스트라 페르란도 마르산
2009년 오스발도 레퀴나 앤 페르난도 수아레스 파스
2010년 오케스트라 빅터 라발렌
2011년 칼라 탱고
2013년 오케스트라 니콜라스 레데스마
2014년 그레코스 탱고 오케스트라
2015년 라 후안 디 알렌 조 오케스트라
2016년 섹스테토 메리디오나르 오케스트라
2017년 호라시오 로모 섹스테토
라틴포크:그 외 다수
1976년 파라과이 공화국 로스 인디오스
1976년 아르헨티나 아타우알파 유팡키
1978,1980년 아르헨티나 안토니오 판타자
1981년 아르헨티나 크리스티나와 휴고
1981년 쿠바 라몬 벨로스와 그룹 “캄포 알레그레”
1982,1992,1994년 아르헨티나 콘도크란키
1983년 아르헨티나 크리스티나와 휴고
1984,1996,2001년 아르헨티나 로스 라이카스
1985년 볼리비아 사비아 안디나 & 줄마 요가르
1986년 아르헨티나 하이메 토레스
1988년 쿠바 시에라 마에스트라
1989년 파라과이 파피 바살두아와 그룹 칸타레스
1991년 베네수엘라 코스타 카리베
1994년 에콰도르 코랄 례 에스메랄다
1995년 비바 멕시코 ‘95 콘서트’,2009,2015년
1997년 브라질 시코 세사르
1997년 피에스타 멕시카나 ’97
1998년 쿠바 손 다마스
2000년 멕시코 트리오 로스 판초스
2001년 멕시코 로스 메카테로스
2003년 파라과이 말틴 포르티로 요 아메리칸타
2003,2004,2005년 아르헨티나 후앙즈 도밍게즈
2005년 멕시코 로스 메카테로스 & 베네수엘라 체오 후르타도 앙상블
2008년 과테말라 알폰소 바티스타 마림바 앙상블, 파나마 썬 브라스
2008년 온두라스 기예르모 앤더슨 & 세이바나, 코스타리카 에디투스
2009년 아이티 미니 올 스타즈
2009년 온두라스 기예르모 앤더슨
2010,2011,2013,2015,2017년 아나타 볼리비아
2011년 자메이카 락스
2011년 페루 맥 살바도르, 엘 콜렉티보 팔렌케, 후안 메드라노 “코티토”
2005,2014년 트리니다도 토바고, 엑소드스틸밴드 오케스트라
2013년 쿠바 세자르 로페즈 & 하바나 앙상블
2016년 베네수엘라 구아코
2017년 니카르구안 디바 카티아 카르데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