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top bar

          

콩쿠르

민음은 초창기부터 다양한 국제프로그램을 통해 전세계 예술인들의 발전을 독려해왔습니다. 보컬리스트, 지휘자, 실내악단 부문의 도쿄국제음악경연대회를 1966년에 출범시켰고, 도쿄국제안무대회는 1991년에 막을 올렸습니다. 이 두 대회들은 수많은 예술가들을 육성하는데 기여해왔고, 일본과 전세계 음악의 공연예술 발전에 공헌해왔습니다.
도쿄국제음악경연대회의 세 부문 중 하나인 도쿄국제음악 지휘자 대회는 1967년에 시작해서 3년마다 열립니다. 그 시작 이래 수많은 재능있는 지휘자들을 키워왔고, 지휘부문에 있어 국제적으로 호평받고 있습니다. 2009년에 열린 대회는 33개 나라와 지역에서 117명의 지원자들이 모였습니다.
도쿄국제안무경연대회는 전세계적으로도 매우 드문 대회중 하나입니다. 이 대회는 전세계로부터 수십명의 안무가와 댄스그룹이 모였고, 미래 젊은 안무가들을 위한 독특한 무대를 제공했습니다.
또한, 1969년과 1994년사이에 민음은 일본의 젊은 신예작곡가들의 작품들을 소개하기 위해 민음현대음악축제를 열었는데, 많은 의뢰를 받은 현대음악작품들이 이 기간동안 대중들에게 소개되었습니다.

1970년, 제2회 도쿄 국제음악 콩쿠르 지휘분야

1993 안무가 경쟁

제14회 지휘 콩쿠르 수상자

2006년, 지휘 콩쿠르 수상자

1993 안무가 경쟁

2009년, 제15회 지휘 콩쿠르 수상자

지휘 콩쿠르 수상자

제1회 1967년

1등: 데즈카 유키노리
2등: 야마오카 시기노부
3등: 고이즈미 히로시


제2회 1970년

1등: 고이즈미 가즈히로
2등: 오타카 다다아키
3등: 잭 브루먼


제3회1973년

1등: 수상자 없음
2등: 아키나리 이구치, 시오자와 야스히코, 데이빗 하월
3등: 수상자 없음


제4회 1976년

1등: 알란 발터
2등: 제롬 칼텐바흐
3등: 고쿠부 마코토


제5회1979년

1등: 다나카 요시카즈
2등: 김홍재
3등: 구리타 사토미


제6회1982년

1등: 도츠카 나오히로
2등: 오노 가즈시
3등: 오다노 히로유키


제7회1985년

1등: 수상자 없음
2등: 리모리 노리치카
3등: 파스칼 베롯


제8회1988년

1등: 구리타 히로후미
2등: 알렉산더 티토프
3등: 카를로 리찌


제9회1991년

1등: 올리비에르 그랜전
2등: 나카무라 유리
3등: 다니엘 클라이너


제10회 1994년

1등: 프란시스코 데 갈베쓰
2등: 도리안 윌슨
3등: 가와모토 코지


제11회1997년

1등: 수상자 없음
2등: 마르코 파리소토
3등: 장윤성, 로넨 보르세브스키


제12회 2000년

1등: 시모노 다츠야
2등: 야나기사와 도시오
3등: 수상자 없음


제13회 2003년

1등: 수상자 없음
2등: 알렉산더 마예르
3등: 제임스 로우


제14회2006년

1등: 수상자 없음
2등: 가와세 겐타로
3등: 수상자 없음


제15회 2009년

1등: 수상자 없음
2등: 수상자 없음
3등: 미하일 레온타에프


제16회2012년

1등: 수상자 없음
2등: 수상자 없음
3등: 수상자 없음


제17회 2015년

1등: 디에고 마르틴 엑스테바리아
2등: 오타 겐
3등: 코리나 니에메예르

보컬리스트 경연대회 우승자

제1회1966년

1등: 니와 카츠미
2등: 모리 토시타카
3등: 요시에 타다오


제2회 1969년

1등: 타카하시 슈이치
2등: 하야시 야스코
3등 쓰지 유코, 카스가 시게코


제3회 1972년

1등: 이츠키 모토무
2등: 아사쿠라 타미
3등: 다카기 히호코


제4회 1975년

1등: 이와사키 유키코
2등: 이케다 나오키
3등: 하야시 마코토


제5회 1978년

1등: 오쿠라 유키에
2등: 아키야마 유키미
3등: 치우 유란


제6회 1981년

1등: 코자키 야스코
2등: 오코 테츠야
3등: 아시다 케이코


제7회 1984년

1등: 나가이 카즈코
2등: 사이다 마사코
3등: 마키토 마사토


제8회 1987년

1등: 마츠조노 마유미
2등: 사코 히사라
3등: 갈리나 심키나


제9회 1990년

1등: 소일 이소코스키
2등: 빅토리아 루키아네츠
3등 이리나 로미체브스카야


제10회1993년

1등: 알렉세이 레페힌스키
2등: 첸 얘유안
3등: 안드레이 스펙호프

챔버 앙상블 대회 우승자

제1회 1974년

1등: 벨라 콰르텟
2등: 키리 킨텟


제2회 1977년

1등: 수상자 없음
2등: 아단 앙상블 & 쿠아트르 로제 색소폰 앙상블


제3회 1980년

[1분과]
1등: 두리 현악기 콰르텟
2등: 도쿄 브람스 콰르텟
[2분과]
1등: 도쿄 피아노 콰르텟
2등: 쿠아트르 로제 색소폰 앙상블


제4회 1983년

[1분과]
1등: 뮤즈 현악기 콰르텟
2등: 수상자 없음
[2 분과]
1등: 르 벤트 윈드 퀸텟
2등: 톡토 브라스 퀸텟


제5회 1986년

[1분과]
1등: 할리 현악 콰르텟
2등: 브로드스키 현악 콰르텟
[2 분과]
1등: 하르모 색소폰 앙상블
2등: 티비아 윈드 퀸텟


제6회 1989년

[1분과]
1등: Y. 콰르텟
2등: 레닌그라드 현악 콰르텟
[2 분과]
1등: 임스키 코르사코프 음악원
2등: 로제 퀸텟


제7회 1992년

[1분과]
1등: 아메르넷 현악 콰르텟
2등: 스바루 현악 콰르텟, 무사 현악 콰르텟
[2 분과]
1등: 아폴로 색소폰 앙상블
2등: V.I.F & 투베르 콰르텟
[3분과]
1등: 미국 호른 콰르텟
2등: 비엘펠데르 포사운 콰르텟

도쿄 국제안무경연대회 수상자

제1회 1991년

1등: 레다 벤테푸아(프랑스)
2등: 릭 멕컬러프 (미국)
3등: 로버트 발로프(체코)
4등: 스타니스라우 위즈니스키 (폴란드)
4등: 한누 후티넨 (필란드)
5등: 장 린켄 (네덜란드)
다카마도 왕자 상: 스타니스라우 위즈니스키


제2회 1993년

1등: 필립 트레헷(프랑스)
2등: 아그네스 룩신(필리핀)
3등: 안성수(한국)
4등: 피리암 나이지(프랑스)
4등: 스타니스라우 위즈니스키 (폴란드)
4등: 에드몬드 스트라이프(호주)
다카마도 왕자 상: 아그네스 룩신

기부